理想鄕 딜쿠샤는 힌두어로 ‘이상향’이지만 원래 의미는 ‘마음의 평화’다. 이상향을 가리키는 말은 언어권마다 다르다. 중국인들은 복사꽃 핀 곳, 무릉도원(武陵桃源)이라 했다. 일본어로는 인위적인 것이 없는 자연 그대로의 세계 무카우노사토(無何有の鄕), 고대 영어로는 아서왕의 궁전 ..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2.08.26
장강후랑추전랑(長江後浪推前浪) 장강후랑추전랑(長江後浪推前浪) 장강의 뒷물이 앞 물을 밀어내고 일대신인환구인(一代新人換舊人) 한 시대의 새사람이 옛 사람을 대신한다 사람의 일생을 10년 단위로 이름 붙였다. 10세를 유(幼)라고 부른다(작을 요 와 힘 력) 작다와 힘이 결합되어 어린아이의 뜻으로 이때부터 글을 배..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2.07.23
6T 란? 정보통신 기술(IT,Information Technology) 생명공학 기술(BT,Biology Technology) 나노 기술(NT,Nano Technology,초정밀기술) 환경공학 기술(ET,Environment Technology) 우주항공 기술(ST,Space Technology) 문화콘텐츠 기술(CT,Culture Technology) 미래유망 신기술 산업 6T란? 1. IT(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의약자인 IT기술은 ..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2.07.06
[스크랩] 불교 기초 기본교리 불교 기초 기본교리 삼법인(三法印) : 세가지 진실한 가르침 (1) 제행무상(諸行無常) : 모든 것은 변화한다 (2) 제법무아(諸法無我) : 모든 변화하는 것에는 '나'라는 실체가 없다 (3) 일체개고(一切皆苦) : 모든 변화하는 것은 괴로움을 발생시킨다 (4) 열반적정(涅槃寂靜) : 모든 괴로움의 불..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2.05.24
거머리 와 모내기 거머리 와 모내기 어릴 적에 거머리와 싸우며 모내기하였던 희미한 기억을 회상하여 봅니다. 우리들 고향과 주위의 부락도 마찬가지 였지만 산골이었고, 논떼기 보다는 밭떼기가 많았으며 논밭을 합쳐 보아야, 대부분 1~2천평 내외였으며, 논은 그나마 수리답(水利畓)이 아닌 천수답(天水..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2.05.17
노각인생만사비 老覺人生萬事非(노각인생만사비)라 憂患如山一笑空(우환여산일소공)이며 人生事空手來去(인생사공수래거)다. 是非莫論一杯飮(시비막론일배음)... 늙어서 생각하니 만사가 아무 것도 아니라 걱정이 태산같으나 한번 소리쳐 웃으면 그만이고, 온 세상이 훨씬 넓고 아름답게 보이고 편하..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2.04.18
허 경영 총재 대선 출마를 선언한 민주공화당 총재 허경영이 황당 공약으로 실소를 자아냈다. 17일 방송되는 종합편성채널 JTBC '아이돌 시사회'에 출연한 허 경영은 "외교관보다 연예인이 나라를 더 알린다"며 "주택이 없다면 주택 지원, 아파트가 없으면 작은 평수라도 한 채씩 지원하겠다"고 ..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2.02.18
임진년 달집 태우기 임진년 정월 대보름 달집 태우기 행사입니다. 날씨가 흐려 보름달은 구름뒤에 숨어서 보이질 않습니다. 달집에 소망을 적어 달님에게 태웠습니다. 올해는 건강하고 바라는 모든 것을 이루어 달라고... 마을 원로 분께서 月神님에게 강신례를 하고 있습니다. 달집 태우기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