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爲貴人易 爲好人難(위귀인이 위호인난)
- 높은 사람 되기는 쉬워도, 좋은 사람 되기는 어렵다.
□ 人誰無過 改之爲貴(인수무과 개지위귀)
- 잘못 없는 사람 누가 있을까? 고치는 것이 귀한 일이네.
□ 喜時之言 多失信(희시지언 다실신)
怒時之言 多失體(노시지언 다실체)
- 기쁠 때의 말은 신의를 잃기 쉽고,
성났을 때의 말은 체모를 잃기 쉽다.
□ 未可以言而言者(미가이언이언자) 其罪小(기죄소)
可以言而不言者(가이언이불언자) 其罪大(기죄대)
- 말하지 말아야 할 때에 말하는 것은, 그 죄가 작지만
말해야 할 때에 말하지 않는 것은, 그 죄가 크다.
□ 樂極而生哀 當益而慮謙(낙극이생애 당익이려겸)
-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픔이 생기고,
유익한 일을 당하면 겸손하기를 생각해야 한다.
□ 不以人所短棄其所長(불이인소단기기소장)
- 그 사람의 약점으로 그의 장점을 버려서는 안 된다.
□ 鸚鵡能言 不離飛鳥(앵무능언 불리비조)
猩猩能言 不離禽獸(성성능언 불리금수)
- 앵무새가 말을 해도 날짐승에 불과하고,
원숭이가 말을 해도 들짐승에 불과하다.
□ 喜時言諂而夸(희시언첨이과)
怒時言激而乖(노시언격이괴)
- 기쁠 때는 말이 아첨하게 마련이요,
성낼 때는 말이 과격하게 마련이다.
□ 一動不如一靜(일동불여일정)
- 움직임은 고요함만 못하다.
□ 吉人醉善心露(길인취선심로)
躁人醉悍氣布(조인취한기포)
- 좋은 사람이 술에 취하면 착한 마음이 드러나고,
조급한 사람이 취하면 사나운 성질을 부린다.
□ 進不藉人 退不尤人(진불자인 퇴불우인)
- 나아갈 때는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물러날 때는 남을 탓하지 않는다.
□ 夫妻無隔宿之仇(부처무격숙지구)
- 부부싸움은 밤을 넘기지 않는다.
□ 非行之難,終之斯難(비행지난 종지사난)
- 실행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끝을 보기가 어렵다.
□
騏驥一躍 不能十步(기기일약 불능십보)
駑馬十駕 功在不舍(노마십가 공재불사)
천리마라도 한꺼번에, 열 걸음을 뛸 수는 없고
노둔한 말이라도 열흘 길을 가게 되는 것은, 쉬지 않는 덕이다.
□ 酒猛杯仍減 詩尖字未安(주맹배잉감 시첨자미안)
- 술이 독하니 순배가 줄고, 시가 날카로우니 글자가 편치 못하네
□ 春蘭兮秋菊 聊與子兮相歡(춘란혜추국 료여자혜상환)
- 봄 난초와 가을 국화를, 항상 그대와 함께 즐겼으면
□ 百年一日 請看松與竹(백년일일 청간송여죽)
歲寒不改惟此物(세한부개유차물)
한 백 년을 하루와도 같이 품고 있었다네,
그대 한번 보시게나 소나무와 대나무를
세한에도 안 변하는 것은 오직 이들이네.
□ 靑山不俗似君意(청산불속사군의)
白鳥無心如我閑(백조무심여아한)
청산은 속되지 않아서 그대의 뜻과 같고,
백조는 무심하여 한가로운 나와 같구나
'詩 >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牧民心書(목민심서) - 洌水 丁 若鏞 - (0) | 2013.02.02 |
---|---|
春雨新蝶(봄비와 나비) (0) | 2013.01.31 |
對影(대영) - 慧 諶(高麗 僧侶) - (0) | 2013.01.29 |
성 대중(1732~1812) 처세어록 (0) | 2013.01.29 |
金縷衣(금루의) (0) | 201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