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38

春望詞(춘망사)

春望詞(춘망사) 봄날의 바램 薛濤(唐) 설도 770~830 花開不同賞(화개불동상) 꽃 피어도 함께 바라볼 수 없고 花落不同悲(화락불동비) 꽃이 져도 함께 슬퍼할 수 없네 欲問相思處(욕문상사처) 그리워하는 마음은 어디에 있나 花開花落時(화개화락시) 꽃 피고 꽃이 지는 때에 있다네 攬草結同心(남초결동심) 풀 뜯어 동심결로 매듭을 지어 將以遺知音(장이유지음) 님에게 보내려 마음먹다가 春愁正斷絶(춘수정단절) 그리워 타는 마음이 잦아질 때에 春鳥復哀吟(춘조부애음) 봄 새가 다시 와 애달피 우네 風花日將老(풍화일장로) 바람에 꽃잎은 날로 시들고 佳期猶渺渺(가기유묘묘) 아름다운 기약 아직 아득한데 不結同心人(불결동심인) 한마음 그대와 맺지 못하고 空結同心草(공결동심초) 공연히 동심초만 맺고 있다네 那堪花滿枝(나감화만..

詩/漢詩 2023.03.29

焚藁(분고)

焚藁(분고) - 李 圭報 - 少年著歌詞(소년저가사) 어린 시절부터 시를 지어서 下筆元無疑(하필원무의) 붓만 잡았다 하면 그만둘 줄 몰랐지 自謂如美玉(자위여미옥) 아름다운 보배라 내 먼저 자랑했으니 誰敢論瑕疵(수감논하자) 그 누가 감히 흠집을 따졌으랴. 後日復尋繹(후일복심역) 뒷날 와 다시 들추어 보니 每篇無好辭(매편무호사) 편 편마다 좋은 글귀 하나 없구나. 不忍汚箱衍(불인오상연) 글상자 차마 더럽힐 순 없어 焚之付晨炊(분지부신취) 밥 짓는 아궁이에 불살라 버렸다네. 明年視今年(명년시금년) 작년에 지었던 글도 올해 다시 보니 棄擲一如斯(포척일여사) 예전과 다름없어 또 다시 버린다네. 所以高常侍(소이고상시) 옛 시인 고적도 이런 까닭에 五十始爲詩(오십시위시) 나이 쉰 되어서야 처음 시를 지었겠지.

詩/漢詩 202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