至味無味 □ 至味無味 醲肥辛甘非眞味, 眞味只是淡. 神奇卓異非至人, 至人只是常 (농비신감비진미, 진미지시담. 신기탁이비지인, 지인지시상) 진한 술, 살진 고기, 맵고 단 것은 참 맛이 아니다. 참 맛은 단지 담백할 뿐이다. 신통하고 기특하며 탁월하고 기이한 것은 지극한 사람이 아니다. 지..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2.10.31
열린 소통과 조직 “아빠 백조는 무슨 색깔이야?” “당연히 흰색이지!” 이제 아빠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한 마리의 흰색 백조를 보여 주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흰 색깔의 백조를 많이 보여 주면 줄수록 ‘백조는 희다’는 명제의 신빙성은 더욱 올라갈 것..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2.10.25
생선회 첫째. 생선회를 상추, 깻잎에 된장과 마늘 등을 함께 싸서 먹으면 안된다. 사람들은 상추나 깻잎 등의 야채에 생선회 몇 점을 올려 놓고 양념된장과 마늘, 고추를 넣고 싼 뒤 한 입에 넣고 씹어 먹는 경우가 많다. 이는 우리의 음식문화 중하나인 `쌈 문화'의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생선..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2.10.22
益子三友 損者三友(익자삼우 손자삼우) 信言不美 美言不信(신언불미 미언불신) 善者不辯 辯者不善(선자불변 변자불선) 知者不博 博者不知(지자부박 박자부知) 진실한 말은 아름답게 꾸미지 않고 아름답게 꾸민 말에는 진실이 없는 것이다 참다운 사람은 변명을 하지 않고 변명을 잘하는 사람은 참다운 사람이 아니다 참으로 ..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2.10.21
와인 용어 와 매너 와인 용어 Dry 드라이 단맛이 없는. 와인에 당이 0.5%보다 적을 때이다. 반대말은 sweet이다. 레드 와인의 수렴성이나 탄닌 성분으로 인해 생기는 입안의 떫은 느낌을 말하기도 한다 Body 바디 입안에서 느껴지는 와인의 무게감이나 점성도, 질감을 표현하는 용어이다. 물을 입안에 넣었을 때..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2.10.16
복을 아껴 쓰라 □ 明心寶鑑 省心篇<33> 복을 아껴 쓰라 有福莫享盡 福盡身貧窮(유복막향진 복진신빈궁) 有勢莫使盡 勢盡寃相逢(유세막사진 세진원상봉) 福兮常自惜 勢兮常自恭(복혜상자석 세혜상자공) 人生驕與侈 有始多無終(인생교여치 유시다무종) 絶壁雖危 花笑立 陽春最好 鳥啼歸(절벽수위 ..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2.10.13
절하는 법 □ 절의 의의와 음양(陰陽) 사상 •절은 상대편에 공경을 나타내 보이는 기초적인 행동예절이다. 그 대상은 비단 사람 뿐만 아니라 공경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산소, 지방, 사진 등)에 대해서도 한다. 자고로 우리나라를 동방예의지국이라 하였지만, 지금은 서양식 악수(握手)로..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2.10.13
言多言失皆因酒 (언다언실개인주) 言多言失皆因酒 (언다언실개인주) 말이 많고 실수 하는 것은 술로 인함이요 義斷親疎只爲錢 (의단친소지위전) 의가 끊어지고 친함이 소홀한 것은 다만 돈 때문이고 醉中不語眞君子 (취중불어진군자) 술 취한 가운데 말이없는 것은 참 군자요 財産分明大丈夫 (재산분명대장부) 재물 관계..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2.10.11
自得 - 中庸 - □ 自得 - 中庸 - 君子 素其位而行 不願乎其外 "군자는 처해 있는 위치에 따라 일을 행하며, 본분을 벗어난 일을 행하지 않는다." (군자 소기위이행 불원호기외) 素富貴 行乎富貴(소부귀 행호부귀) 부귀한 운명이 오면 부귀한 자의 행동을 하고 素貧賤 行乎貧賤(소빈천 행호빈천) 빈천한 운..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