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피의 법칙 (Murphy's Law) □ 머피의 법칙 (Murphy's Law) 머피의 법칙에 따르면 "어떤 일을 하는데 둘 이상의 방법이 있고 그것들 중 하나가 나쁜 결과(Disaster)를 불러온다면 누군가가 꼭 그 방법을 사용한다"고 말하였다. 자기가 원하는 것과 반대로 꼬여 가는 것이다. 1949년 미국 공군에서 인간이 중력에서 얼마나 견..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3.01.20
勸學文 □ 眞倧皇帝勸學文(진종황제권학문) 富家不用買良田(부가불용매양전) 집을 부유하게 하려고 좋은 밭 사지 말라 書中自有千種祿(서중자유천종녹) 책 속에 저절로 천종의 봉록이 있다 安居不用架高堂(안거불용가고당) 편안히 살려고 큰 집을 짓지 마라 書中自有黃金屋(서중자유황금옥) ..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3.01.20
伯夷列傳 - 史馬遷 - □ 伯夷列傳 - 史馬遷 - 夫學者載籍極博(부학자재적극박) 대체로 학문을 하는 데는 참고할 서적이 매우 많지만, 猶考信於六蓺(유고신어육예) 여전히 상고하면 육예에 믿음이 간다 詩書雖缺(시서수결) 시경과 서경은 비록 잃어버린 부분이 있으나 然虞夏之文可知也(연우하지문가지야)..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3.01.20
四不三拒 □ 四不三拒 조선시대에는 유학 정신과 함께 선비 정신의 주요 덕목으로 청렴(淸廉), 결백(潔白), 안빈(安貧) 등이 있었으며, 청렴을 실천하는 일종의 행동수칙으로 四不三拒라는 금기사항까지 있었다. 사불삼거(四不三拒)는 소위 네 가지를 하지 말고 세 가지를 거절하라'는 말이다. 四不..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3.01.20
살아 鎭川, 죽어 龍仁 □ 살아 鎭川, 죽어 龍仁 生居鎭川 死居龍仁이란 말이 있다. 살기로는 진천이 좋고, 죽어서 묻히기로는 용인만한 데가 없다는 뜻으로 잘 쓰인다. 그것은 아마도.... 충북 진천이 농사지을 좋은 땅이 많고 가뭄과 홍수가 별로 없어 살만하다고 한 모양이고, 경기 용인은 명당이 될 만한 곳이..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3.01.19
貴易交 富易妻(귀역교 부역처) □ 貴易交 富易妻(귀역교 부역처) 고귀해 지면 천할 때 사귀었던 친구를 버리고 부유해지면 가날 할 때의 아내를 버린다. 貧賤之交는 不可忘하고 糟糠之妻는 不下堂합니다. 가난하고 천할 때의 친구는 잊지 말아야 하고 조강지처는 버리지 말아야 한다. 糟 : 술 지게미 조, 糠 : 쌀겨 강 □..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3.01.18
孟思誠 □ 孟思誠 조선조 청백리의 표상 맹사성은 스무 살에 파주 군수가 되었다. 나이 어린 그는 자만심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어느 날 무명 선사를 찾아 물었다. "스님, 군수인 제가 삼아야 할 좌우명은 무엇이라 생각하오?" "그야 선정을 많이 베푸시면 됩니다." "그건 삼척동자도 다 아는 理致 ..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3.01.18
良禽擇本而棲(양금택목이서) □ 良禽擇木 良禽擇木而棲(양금택목이서) 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 깃들이고 賢臣擇主而事(현신택주이사) 지혜로운 신하는 주인을 가려 섬긴다. 삼국지 조조가 적의 장수 서황을 자기 편으로 만들기 위하여 한 말이다. 燕雀安知 鴻鵠之志(연작안지 홍곡지지) 조조가 진궁에게 제비나 참새..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3.01.18
사서 오경 □ 儒敎 經典 - 四書는 論語, 孟子, 大學, 中庸 - 五經은 詩經, 書經, 易經, 禮記, 春秋 □ 四書 ● 論語 : 儒敎 經典인 4서 5경 중에서도 가장 代表的인 책으로서, 주로 孔子의 語錄이 담겨 있음. ● 孟子 : 孟子와 그 제자들의 對話 따위를 기술한 것으로 梁惠王, 公孫丑(공손추), 騰文公(등문.. 마음에 남는 글들/Issue 時事 2013.01.14
敎學相長 □ 敎學相長 - 禮記 學記篇. 禮記卷十八 玉不琢不成器, 人不學不知道(옥불탁불성기, 인불학부지도) 옥은 쪼지 않으면 그릇이 되지 못하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를 모른다. 是故 古之王者 建國君民, 敎學爲先.(시고 고지왕자 건국군민, 교학위선) 이런 까닭으로 옛날에 왕된 자는 나라.. 마음에 남는 글들/名文 글귀 201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