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망해사 낙서전 주련 □ 震默大師 悟道誦(진묵대사 오도송), 金提市 望海寺 樂西殿 柱聯(김제시 망해사 낙서전 주련) 天衾地席山爲枕(천금지석산위침) 하늘은 이불, 땅은 깔개, 산허리는 베개하여 月燭雲屛海作樽(월촉운병해작준) 달은 촛불,구름은 병풍치고,바다는 술 단지 삼아, 大醉居然仍起無(대취거연잉.. 詩/漢詩 2010.10.12
팔공산 동화사 심검당 주련 □ 八公山 桐華寺 尋劍堂 柱聯(팔공산 동화사 심검당 주련) 良由取舍所以不如(양유취사소이불여) 인연은 취하고 버림이 마음대로 되지 않을지니 着意用工總是痴漢(착의용공총시치한) 의도적 일을 꾸미는 것은 모두 어리석은 짓이라. 本來無物何論一體(본래무물하론일체) 본래 아무 것도 없음에 어찌..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0.10.12
봉구 - 백 거이 - 逢舊(봉구) 옛 벗을 만나서. 白居易(백거이) 久別偶相逢(구별우상봉) 옛 벗을 우연히 만나니 俱疑是夢中(구의시몽중) 이것이 꿈인지 의심 스러워라. 卽今歡樂事(즉금환락사) 지금 기쁘고 즐겁기는 하다만 放盞又成空(방잔우성공) 술잔을 놓고 헤어지면 그 또한 허무함 아니겠나... 詩/漢詩 2010.10.12
어느 어머니의 말씀. □ 어느 어머니의 말씀.(작자 미상, 동아일보 게재) 혹시 어미가 가난하고 약해지거든 조금은 보태주거라. 널 위해 평생 바친 엄마이지 않느냐. 그것은 아들의 도리가 아니라 사람의 도리가 아니겠느냐. 독거 노인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어미가 가난하고 약해지는데 자식인 네가 돌보지 않..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0.10.12
자규사 - 단종대왕 - □ 子規詞(자규사) - 단종대왕 - 月白夜蜀魂(월백야촉혼) 두견새 슬피 우는 달 밝은 밤에 含愁情依樓頭(함수정의루두) 수심을 안고 누각에 기대었노라. 爾悲我聞苦(이비아문고) 피나게 우는 네 소리, 내 듣기 애처롭구나. 無爾聲無我愁(무이성무아수) 네 울음 없으면 내 시름도 없을 것을 .. 詩/漢詩 2010.10.12
방백한시 - 김 문기 - □ 放白鷳 詩(방백한 시) 백촌 김문기(白村 金文起) - 世祖의 端宗 簒位를 反對하며 咸吉道 節制使로 계시면서 지은 詩 爾爲羈鳥我孤囚(이위기조아고수) 그대는 새장 속의 새이고 나 외로이 갇히어 日夕窓前相對愁(일석창전상대수) 해 저문 창가에서 시름을 같이하네. 雲外豈無千里志.. 詩/漢詩 2010.10.12
정감록의 3대 예언 정감록의 3대 예언. 정감록의 핵심 내용은 다음의 3대 예언인데 도의 경지에서 미래의 시간대와 영계의 비밀 내용을 알고 전한 수준 높은 내용이다. 각 예언의 구성은 나를 죽이는 것은 누구인가(殺我者誰),나를 살리는 것은 무엇일까(活我者誰)로 반복되고 있다. - 임진왜란 살아자수(殺我者誰)오 여인.. 마음에 남는 글들/모셔온 글 2010.10.12
촌야 - 백 낙천 - 촌야(村夜) 백거이(白居易) 霜草蒼蒼蟲切切(상초창창충절절) : 서리맞은 풀 무성하고 벌레소리 절절한데, 村南村北行人絶(촌남촌북행인절) : 마을의 남과 북에 사람의 발길 끊어졌구나. 獨出門前望野田(독출문전망야전) : 홀로 문 앞에 나와 들 밭을 멀리 바라보니, 月明蕎麥花如雪(월명.. 詩/漢詩 2010.10.12
무어별 - 임 제 - 무어별(無語別) - 임제(林悌) - 十五越溪女(십오월계녀) 羞人無語別(수인무어별) 歸來掩重門(귀래엄중문) 泣向梨花月(읍향이화월) 열다섯 살의 아름다운 여인이, 남 부끄러워 이별의 말은 못하고, 돌아와 덧문을 닫고서는, 배꽃에 걸린 달을 보며 눈물 짓네. 詩/漢詩 2010.10.12
청산리 벽계수 - 황 진이 - 황 진이(黃 眞伊) 어려서부터 얼마나 예쁘면 이웃집 총각이 상사병으로 죽고, 그 상여가 움직이지 못하자 진이가 소복을 입고 상여를 밀자 움직였다 하지요. 그래서 진이는 평생 출가를 않고 시작과 풍류를 즐기면서 기생으로 자유롭게 연애를 하며 한 평생을 보내게 됩니다. 유명한 일화.. 詩/漢詩 201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