詠烏 - 李 義府 - □ 詠烏 - 李 義府 - 日裏颺朝彩(일리양조채) 태양 속에서는 아침 빛을 드날리고 琴中伴夜啼(금중반야제) 거문고 노래에서는 야제곡을 짝하였다. 上林多少樹(상림다소수) 상림원에 나무가 많기도 한데 不借一枝棲(불차일지서) 가지 하나 빌려서 깃 들지 못하네. 詩/漢詩 2013.01.19
傾國不如醜醜婦(경국불여추추부) □ 傾國不如醜醜婦(경국불여추추부) 경국지색이라도 못난 아내만 못하고 茶湯若非薄薄酒(다탕약비박박주) 묽디 묽은 막걸리라도 끓인 찻물보다 낫도다 名畵不如春山景(명화불여춘산경) 아무리 유명한 그림이라도 춘산의 경치만 못하고 名月若非心江月(명월약비심강월) 밝은 달이라도 .. 詩/漢詩 2013.01.18
囑諸子(촉제자) - 李 奎報 - □ 囑諸子(촉제자) - 李 奎報(1168~1241) - (여러 자식에게 부탁하다) 家貧無物得支分(가빈무물득지분) 살림이 가난하여 나누어줄 것은 없고 惟有簞瓢老瓦盆(유유단표노와분) 오직 있는 것은 낡은 표주박과 질그릇뿐 珠玉滿卽隨手散(주옥만즉수수산) 주옥이 아무리 가득해도 곧 없어질 수 있.. 詩/漢詩 2013.01.18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 猛虎行 - 陸 士衡(중국 吳나라) -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은 마시지 않고 熱不息惡木陰(열불식오목음) 무덥더라도 나쁜 나무의 그늘에는 쉬지 않는다. 惡木豈無枝(오목개무지) 나쁜 나무라 해서 어찌 가지가 없겠느냐 마는 志士多苦心(지사다고심) 뜻있는 .. 詩/漢詩 2013.01.18
遊山西村 - 陸游 - □ 遊山西村(산서촌을 유람하다) - 陸游 - - 陸游는 중국 南宋의 시인(1125~1209)으로 자는 務觀이며 호는 放翁이다. 莫笑農家臘酒渾(막소농가납주혼) 농가에서 섣달에 빚은 술 탁하다고 웃지 마오 豊年留客足鷄豚(풍년유객족계돈) 풍년이라 손님에게 돼지 닭 정도는 낼 수 있소 山窮水盡疑.. 詩/漢詩 2013.01.17
密陽嶺南樓 中에서 - 金 季昌 - □ 密陽嶺南樓 中 - 金 季昌 - 眼豁東南萬里天(안활동남만리천) 눈길이 동남 만 리 하늘까지 탁 트이고 一區形勝屬樽前(일구형승속준전) 한 구역의 경치가 술잔 앞에 놓여 있다. 詩成片雨無心處(시성편우무심처) 시는 가랑비 무심히 내리는 곳에서 지어지고 興逐長江不盡邊(흥축장강부진.. 詩/漢詩 2013.01.14
贈僧 - 柳 成龍 - □ 贈僧 - 柳 成龍 - 此身猶復寄淵氷(차신유부기연빙) 이 몸은 여전히 얼음처럼 조심하며 사노니 萬事元來不足憑(만사원래불족빙) 모든 일은 원래 남에게 의지함은 충분치 못해 病裏安心惟習靜(병리안심유습정) 병중에 마음 편히 함에는 오직 고요함 익히는 것 試將禪定較山僧(시장선정.. 詩/漢詩 2013.01.14
紫微花(붉은 배롱나무 꽃) - 白 居易 - □ 紫微花(붉은 배롱나무 꽃) - 白 居易 - 紫微花對紫微翁(자미화대자미옹) 자미화가 자미옹을 마주하고 있으니 名目誰同貌不同(명목수동모부동) 이름은 같으나 모습은 같지 않네. 燭點芳非當夏景(촉점방비당하경) 꽃향기를 독점하여 여름 풍경을 감당하고 不將顔色托春風(부장안색탁춘.. 詩/白樂天 詩 2013.01.14
對酒 - 白 居易 - □ 對酒(대주 : 술잔을 앞에 놓고) - 백거이(白居易) 巧拙愚賢相是非(교졸우현상시비) 솜씨 있고 없고 잘나고 못나고 서로 따지는데 如何一醉盡忘機(여하일취진망기) 술 한번 취해서 몽땅 잊음이 어떨런지? 君知天地中寬窄(군지천지중관착) 하늘과 땅 사이 넓고 좁음을 그대는 아시는가? &.. 詩/白樂天 詩 2013.01.14
效陶潛體詩 □ 效陶潛體詩 余退居渭上, 杜門不出. 時屬多雨, 無以自娛. 會家醞新熱. 雨中獨飮, 往往酣醉, 終日不醒. 懶放之心, 彌覺自得. 故得於此, 而有以忘於彼者. 因詠陶淵明詩, 適與意會. 遂傚其體, 成十六篇. 醉中狂言, 醒輒自哂. 然知我者亦無隱焉. 내가 渭水가로 물러나 살며 문.. 詩/白樂天 詩 2013.01.14